투자위축…원희룡 도정 정책전환 요구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1 작성일18-08-16 11:25 조회20,494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2014년 이후 제주가치 극대화 등 3원칙 강조…FDI 급감 등 역효과
자본검증·공론조사로 신뢰하락도 원인…민선 7기 민자유치계획 수립
집권 2기를 맞고 있는 원희룡 제주도정의 투자유치 정책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원희룡 도정은 2014년 7월 첫 출범 이후 관광개발 위주에서 탈피, '청정·공존'이라는 제주의 미래가치를 높이고 지역주민의 실질적 고용과 경제파급효과를 극대화하는 내용으로 투자정책 방향을 설정했다.
그런데 최근 제주 투자에 대한 해외 투자자들의 관심이 끊기면서 원 도정의 투자유치 정책도 전환점을 맞고 있다.
최근 3년(2015~2017년)간 10억 달러를 웃돌았던 FDI 유치실적이 급감하면서다.
올 상반기 제주지역 FDI 신고액은 1억4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4억7000만달러보다 76.7% 감소했다. 도착금액도 지난해 상반기 4억6700만달러보다 75.6% 줄어든 1억1400만 달러에 그쳤다.
제주도는 외국인 투자유치 실적이 저조한 것을 두고 2016년 이후 중국정부의 외환관리 강화와 해외직접 투자 지도 지침 등 대내외적인 여건 변화를 가장 큰 요인으로 꼽고 있다.
또 산업단지 입지공간 부족과 부동산 가격 급등에 따른 투자입지 확보난 등도 원인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원 도정 출범 후 '환경보호' '투자부문간 균형' '제주 미래가치를 높이는 투자'라는 투자유치 3원칙을 고수한데다 자본검증·공론조사 등 근거가 부족한 잣대를 적용하면서 투자 신뢰도가 하락했기 때문이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이처럼 투자유치 실적이 저조하자 제주도는 민선 7기 출범에 맞춰 새로운 투자유치계획을 수립한다. 이를 위해 내·외부 인사가 참여하는 '제주도 민자유치지원본부'를 구성하고 9월까지 민선 7기 투자유치계획을 확정키로 했다.
국내기업을 우선적으로 유치하고 외국인투자기업의 경우 제주지역 경제기여도를 고려해 선별적으로 선택키로 한 점이 눈길을 끈다.
원 지사가 특구 지정 등을 제안했던 블록체인 기업도 주요 유치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자본검증·공론조사로 신뢰하락도 원인…민선 7기 민자유치계획 수립
집권 2기를 맞고 있는 원희룡 제주도정의 투자유치 정책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원희룡 도정은 2014년 7월 첫 출범 이후 관광개발 위주에서 탈피, '청정·공존'이라는 제주의 미래가치를 높이고 지역주민의 실질적 고용과 경제파급효과를 극대화하는 내용으로 투자정책 방향을 설정했다.
그런데 최근 제주 투자에 대한 해외 투자자들의 관심이 끊기면서 원 도정의 투자유치 정책도 전환점을 맞고 있다.
최근 3년(2015~2017년)간 10억 달러를 웃돌았던 FDI 유치실적이 급감하면서다.
올 상반기 제주지역 FDI 신고액은 1억4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4억7000만달러보다 76.7% 감소했다. 도착금액도 지난해 상반기 4억6700만달러보다 75.6% 줄어든 1억1400만 달러에 그쳤다.
제주도는 외국인 투자유치 실적이 저조한 것을 두고 2016년 이후 중국정부의 외환관리 강화와 해외직접 투자 지도 지침 등 대내외적인 여건 변화를 가장 큰 요인으로 꼽고 있다.
또 산업단지 입지공간 부족과 부동산 가격 급등에 따른 투자입지 확보난 등도 원인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원 도정 출범 후 '환경보호' '투자부문간 균형' '제주 미래가치를 높이는 투자'라는 투자유치 3원칙을 고수한데다 자본검증·공론조사 등 근거가 부족한 잣대를 적용하면서 투자 신뢰도가 하락했기 때문이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이처럼 투자유치 실적이 저조하자 제주도는 민선 7기 출범에 맞춰 새로운 투자유치계획을 수립한다. 이를 위해 내·외부 인사가 참여하는 '제주도 민자유치지원본부'를 구성하고 9월까지 민선 7기 투자유치계획을 확정키로 했다.
국내기업을 우선적으로 유치하고 외국인투자기업의 경우 제주지역 경제기여도를 고려해 선별적으로 선택키로 한 점이 눈길을 끈다.
원 지사가 특구 지정 등을 제안했던 블록체인 기업도 주요 유치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